티스토리 뷰
목차
반응형
2025년 최저임금이 인상되면서 많은 분들이 “이번엔 한 달에 얼마 받을 수 있을까?” 하는 궁금증을 가지게 됩니다.
이 글에서는 2025년 최저시급을 기준으로 월급 계산, 주휴수당 포함 실수령액, 4대 보험 공제 후 실수령액까지 상세히 알려드립니다.
✅ 2025년 최저시급은 얼마인가요?
- 2025년 최저시급: 10,030원
- 이는 2024년 대비 인상된 금액이며, 시급 근로자, 아르바이트생, 계약직 등 모든 근로자에게 적용됩니다.
💼 최저시급 월급 계산법 (주 40시간 기준)
- 월 기준 근로시간: 209시간
- 월급(세전): 10,030원 × 209시간 = 2,096,270원
※ 이 금액에는 주휴수당이 포함되어 있습니다. 주 15시간 이상 근무하고 개근한 근로자는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으며, 일반적으로 시급 계산에 포함하여 월급으로 환산됩니다.
최저시급 실수령액 계산 (4대 보험 공제 후)
4대 보험 공제를 반영한 실수령액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:
항목예상 공제액
국민연금 | 약 94,300원 |
건강보험 | 약 76,400원 |
장기요양보험 | 약 10,300원 |
고용보험 | 약 27,200원 |
총 공제액 | 약 208,200원 |
- 실수령액:
2,096,270원 - 208,200원 = 약 1,888,000원
개인 상황에 따라 공제액은 조금씩 차이 날 수 있지만, 일반적인 기준에서는 약 188~190만 원 수준으로 예상됩니다.
최저시급 월급 계산법 요약 정리
구분금액
최저시급 | 10,030원 |
월급(세전) | 2,096,270원 |
4대 보험 공제 | 약 208,200원 |
실수령액 | 약 1,888,000원 |
🔍 함께 보면 좋은 키워드
#2025최저시급 #월급계산법 #주휴수당포함 #실수령액계산 #최저임금월급 #4대보험공제 #시급근로자월급계산
최저시급 인상은 근로자에게는 희소식이지만, 실질적으로 수령하는 금액을 제대로 아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.
실수령액 기준으로 자신의 급여를 정확히 파악하고, 근로계약이나 근무조건 협의 시 꼭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반응형